본문 바로가기
Underline

밥 제솝 , 국가 권력 - 마르크스에서 푸코까지, 국가론과 권력 이론들 .

by 서울을 번역합니다. 2021. 5. 16.

P. 16~17일상 언어는 이따금 국가를 하나의 주체로 묘사한다. 국가는 이런저런 일을 하거나 해야만 한다는 식으로 말이다. 일상 언어는 때때로 국가를 하나의 사물로 다루기도 한다. 경제적 계급, 사회적 계층, 정당, 공무원 계층이 자기들의 프로젝트나 이익을 추구하려고 국가를 이용한다는 식의 표현을 쓴다. 그러나 국가는 주체도 아니고 사물도 아니다. 그런 국가는 어떻게 해서 마치 하나의 통일된 주체처럼 행위할 수 있으며, 무엇을 거쳐 자기의 통일성을 하나의 ‘사물’로 구성할 수 있을까? 그리고 사회의 행위자는 어떻게 마치 국가란 실재하는 주체이거나 단순한 도구라는 듯 행동하게 될까? 국가가 가리키는 대상이 아주 다양하기 때문에 딱 떨어지는 대답은 하기 힘들다. 무슨 행동을 하고, 어느 규모(scale)에서 작동하며, 어떤 정치 세력들이 국가를 지향해 행동하고, 무슨 환경에서 국가와 그런 세력들이 행동하는지 등에 따라 국가는 형태와 외양을 바꾼다. 

 

 

P. 16~17
Daily language sometimes describes a state as a subject. The state has to do or do one thing or another. Daily language sometimes treats a state as an object. Economic classes, social classes, political parties, and civil servants use the expression that they use the state to pursue their projects or interests. But the state is neither subject nor object. How can such a nation act as if it were a unified entity, and how can it organize its unity into a "thing"? And how do the actors of society act as if the state is a real entity or a simple tool? It is hard to give a straight answer because the country has so many different targets. The state changes shape and appearance depending on what action, what scale it operates, what political forces act toward the state, and what environment it acts i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