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derline

김내훈, 프로보커터.

by 서울을 번역합니다. 2021. 5. 4.

책에서 비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프로보커터(Provocateur)’다. 프로보커터는 도발(provoke)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인터넷 등지에서 글이나 영상으로 특정인이나 집단을 도발하여 조회수를 끌어올리고, 그렇게 확보한 세간의 주목을 밑천 삼아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본문 79쪽)

P. 74정치 유튜버들은 대체로 항상 분노하고 있다. 이들은 시사를 단순화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의 원인을 의인화해 그들에 대한 공격을 선동한다. 문제의 원인이 어떤 추상적인 구조에 있는 게 아니라 몇몇 인물이나 특정 집단에 있다는 진단은, 그들만 사라지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간편한 처방으로 이어진다. 공식은 명쾌할수록 대중에게 강한 호소력을 갖는다. 그에 맞춰 이들이 카메라 앞에서 상연하는 분노와 격동하는 감정은 스펀지에 잉크가 스미듯 시청자에게 손쉽게 전이된다.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댓글은 이를 더 증폭시킨다. 시청자는 그렇게 전이된 감정을 스스로 발아한 감정으로 착각한다. 유튜브를 통해 감정이 학습되는 것이다. 

 

P. 74
Political YouTubers are generally always angry. Beyond simplifying current events, they personify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instigate attacks on them. The diagnosis that the cause of the problem is not in any abstract structure, but in some people or certain groups leads to a simple prescription that if they disappear, all problems will be solved. The clearer the formula, the stronger the appeal to the public. Accordingly, the anger and turbulent emotions that they perform in front of the camera easily spread to the viewers as if ink were in a sponge. The comments that are pouring out in real time amplify this even more. Viewers mistake such a transition for self-evolution. Emotions are learned through YouTub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