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세대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듯 나도 이런 말을 들으며 자라났다.
p.21
현대의 인간은 모든 일이 다른 어떤 목적을 위해 행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그 자체를 목적으로 일하는 법이 없다. 예를 들어 진지한 사람들은 영화 보러 가는 습관에 대해 끊임없이 비난하며 그런 버릇은 젊은이들을 범죄로 이끈다고 말한다. 그러나 또 한편으론 영화를 만드는 노동음 훌륭한 것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이기 따문에, 또한 돈을 벌게 해주기 때문에.
p.81
우리가 사는 것보다 파는 것을 더 좋아하게 된 심리적 근원은 기쁨보다 힘을 더 좋아하는 데 있다.
우리가 살펴본 현대 비합리주의자들의 교리의 특징을 살펴보자. 그들은 사고와 감정보다 의지를 강조하고 권력을 찬양한다. 객관적이고 귀납적인 검증보다 이미 정립된 것에 대한 직관적인 단정을 믿는다.
p.151
그러나 다수의 노동이 가치있는 이유는 일이 좋은 것이어서가 아니라 여가가 좋은 것이기 때문이었다.
Like most people in my generation, I grew up hearing this.
p.21
Modern humans think that everything should be done for some other purpose and never work for it's own purpose. For example, serious people constantly criticize the habit of going to the movies and say it leads young people to crime. But on the other hand, they say that the labor sound that makes the movie is a great thing. Because it's a job, and it makes money.
p.81
The psychological source of our preference for selling rather than buying lies in our preference for power over pleasure.
Let's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irrationalist doctrines we have looked at. They emphasize will over thinking and emotion and praise power. Rather than objective and inductive verification, we believe in intuitive 단정 for what is already established.
p.151
But the reason why a lot of labor is valuable was not because work was good, but because leisure was good.
'Underl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 이상 소설 전집. (0) | 2021.05.23 |
---|---|
고레에다 히로카즈, 키키 키린의 말 - 마음을 주고받은 명배우와 명감독의 인터뷰. (0) | 2021.05.22 |
이나모리 가즈오 , 왜 일하는가 - 지금 당신이 가장 뜨겁게 물어야 할 첫 번째 질문. (0) | 2021.05.20 |
최정규, 불량 판결문 - 이유 없고, 무례하고, 비상식적인 판결을 향한 일침 . (0) | 2021.05.19 |
스티븐 레비츠키,대니얼 지블랫,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 우리가 놓치는 민주주의 위기 신호. (0) | 2021.05.18 |
댓글